(구)Android/이론

(구)Android/이론

[Android] Activity 수명주기

📌 Intro 안드로이드 시스템은 실행되는 앱의 상태를 직접 관리한다. 만약 앱이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지 않으면, 실행된 앱이 메모리를 과도하게 점유하거나 화면을 보여주는 권한을 과도하게 갖기 때문에 다른 기능을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는 대부분의 모바일 OS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액티비티는 처음 실행될 때 메모리에 만들어지는 과정부터 실행과 중지, 메모리에서 해제되는 여러 과정을 상태 정보로 가지고 있고, 이런 상태 정보는 시스템이 관리하면서 각각의 상태에 해당하는 메서드를 자동으로 호출한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 액티비티 수명주기 대표적인 액티비티의 상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실행 화면상에 액티비티가 보이면서 실행되어 있는 상태. 액티비티 스택의 최상위에 있으며 포커스를 가..

(구)Android/이론

[Android] 레이아웃과 인플레이션 이해하기

📌 Intro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면서 구현에 대한 감은 잡았지만 동작 원리나 기본 개념과 같이 기본적인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지 않은 것 같아서 이론적인 내용을 차근차근 정리하려고 한다. 그 중 첫 번째 내용은 레이아웃과 인플레이션에 관한 내용이다. 📌 setContentView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방법은 2step으로 이루어진다. layout xml 구성 화면의 기능을 담당하는 소스코드 파일 구현 그리고 화면의 기능을 담당하는 소스코드는 기본적으로 위와 같이 setContentView() 메서드를 가지고 있다. 바로 저 메서드가 XML 레이아웃과 소스코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파라미터로 받는 레이아웃과 현재 소스코드를 연결한다. 📌 LayoutInflation in..

(구)Android/이론

[Android] Intent

Intent 다른 Activity를 생성시킬 뿐 아니라 Service, BroadCastReceiver를 동작시킬 수 있다. 안드로이도 4대 컴포넌트가 상호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메시지 객체 역할을 한다. * 4대 컴포넌트 – Activity, Service, BroadCastReceiver, Content Provider) ⦁ 명시적 intent - 실행하고자 하는 실행단위의 클래스 이름을 명확하게 알고 명시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 같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클래스를 직접 지정 - 다른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패키지명과 클래스명을 지정 - 인자로 어떤 어플리케이션에서 호출하는지와 오픈할 Activity를 준다. ⦁ 암시적 intent - 약속된 액션을 지정하여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기존 응용프로그..

(구)Android/이론

[Android] 용어정리

좋은 기회로 하계 학부연구생을 하게 되었고, Android에 대해 배우고 직접 어플을 만드는 과정을 배우기로 했다. 앞으로의 Android공부를 이곳에 남겨볼 예정이다. (혹여 틀린 것이나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합니다!) * 앞으로도 모르는 용어가 나오면 종종 수정될 예정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줄임말로 응용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Interface 컴퓨터 시스템끼리 정보를 교환하는 공유 경계를 의미한다. 터치 스크린과 같은 일부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들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마우스 같은 장치는 시스템에 데이터를 전..

Krrong
'(구)Android/이론'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