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링크
2346번: 풍선 터뜨리기
1번부터 N번까지 N개의 풍선이 원형으로 놓여 있고. i번 풍선의 오른쪽에는 i+1번 풍선이 있고, 왼쪽에는 i-1번 풍선이 있다. 단, 1번 풍선의 왼쪽에 N번 풍선이 있고, N번 풍선의 오른쪽에 1번 풍선
www.acmicpc.net
문제
1번부터 N번까지 N개의 풍선이 원형으로 놓여 있고. i번 풍선의 오른쪽에는 i+1번 풍선이 있고, 왼쪽에는 i-1번 풍선이 있다. 단, 1번 풍선의 왼쪽에 N번 풍선이 있고, N번 풍선의 오른쪽에 1번 풍선이 있다. 각 풍선 안에는 종이가 하나 들어있고, 종이에는 -N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하나 적혀있다. 이 풍선들을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터뜨린다.
우선, 제일 처음에는 1번 풍선을 터뜨린다. 다음에는 풍선 안에 있는 종이를 꺼내어 그 종이에 적혀있는 값만큼 이동하여 다음 풍선을 터뜨린다. 양수가 적혀 있을 경우에는 오른쪽으로, 음수가 적혀 있을 때는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동할 때에는 이미 터진 풍선은 빼고 이동한다.
예를 들어 다섯 개의 풍선 안에 차례로 3, 2, 1, -3, -1이 적혀 있었다고 하자. 이 경우 3이 적혀 있는 1번 풍선, -3이 적혀 있는 4번 풍선, -1이 적혀 있는 5번 풍선, 1이 적혀 있는 3번 풍선, 2가 적혀 있는 2번 풍선의 순서대로 터지게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차례로 각 풍선 안의 종이에 적혀 있는 수가 주어진다. 종이에 0은 적혀있지 않다.
출력
첫째 줄에 터진 풍선의 번호를 차례로 나열한다.
풀이
자료구조 덱과 큐를 이용하여 풀이하였다.
먼저 풍선의 번호와 적혀있는 번호를 페어로 만들어 덱에 넣어주었다. 그리고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함수(가장 앞에 있는 원소를 맨 뒤로 옮겨주는 함수)와 왼쪽으로 이동하는(가장 뒤에 있는 원소를 맨 앞으로 옮겨주는 함수)를 만들어두었다.
처음에는 입력 받은 값과 풍선 번호를 순서대로 증가시키며 덱에 추가해준다.
1번 풍선을 터뜨린 뒤 적혀 있는 번호만큼 앞, 뒤로 움직여 다른 풍선을 터뜨려야 하기 때문에 적혀 있는 번호가 양수일 때, 음수일 때를 구분하여 다르게 동작하도록 하였다.
양수라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함수를, 음수라면 왼쪽으로 이동하는 함수를 호출하였고, 이 과정을 적혀있는 횟수만큼 반복한다.
가장 앞에 있는 원소의 풍선 번호를 큐에 넣어주고 위의 동작을 덱이 빌 때까지 반복한다.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
#include <iostream>
#include <deque>
#include <queue>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n, val;
deque<pair<int, int>> ballons; // 풍선 번호, 적혀있는 번호
queue<int> result; // 터지는 풍선 번호를 담음
// 왼쪽으로 회전(음수일 때)
void Left() {
ballons.push_front(ballons.back());
ballons.pop_back();
}
// 오른쪽으로 회전(양수일 때)
void Right() {
ballons.push_back(ballons.front());
ballons.pop_front();
}
int main(){
ios::sync_with_stdio(0);
cin.tie(0);
cout.tie(0);
cin >> n;
for (int i = 1; i <= n; i++) {
cin >> val;
ballons.push_back(make_pair(i, val)); // 1부터 N까지 삽입
}
pair<int, int> tmp = ballons.front();
ballons.pop_front();
result.push(tmp.first);
while (!ballons.empty()) {
// 적혀있는 번호가 양수일 때
if (tmp.second > 0) {
tmp.second = tmp.second - 1;
while (tmp.second--) {
Right();
}
}
// 적혀있는 번호가 음수일 때
else {
while (tmp.second++) {
Left();
}
}
tmp = ballons.front();
result.push(tmp.first);
ballons.pop_front();
}
int size = result.size();
// 출력
for (int i = 0; i < size; i++) {
cout << result.front() << ' ';
result.pop();
}
}
|
c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