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테크코스/프리코스

[우테코] Enum class

2022. 11. 17. 14:15
목차
  1. 📌Intro
  2. 📌Enum class?
  3. 📌참고

📌Intro

우테코 프리코스 3주차 미션 요구사항 중 Enum class를 적용하여 프로그래밍을 구현하라는 요구 사항이 있었다. Enum class는 학교 수업에서 잠시 다루면서 흘려 들었던 기억만 있을 뿐 어떤 역할을 하고 언제 사용하면 좋은지 아예 개념이 잡혀있지 않았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다뤄보며 이해하고 정리하려고 한다.



📌Enum class?

Enum class는 상태 등 유사한 값들을 상수값으로 만들어 사용하고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Enum class를 사용하면 상수를 집합으로 관리할 수 있어 코드의 가독성이 높아진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클래스이기 때문에 프로퍼티와 메소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수 목록과 메소드 정의 사이에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구분해줘야 한다.

enum class State(val value: Int, val price: Int) {
    FIRST(6, 2000000000),
    SECOND(7, 30000000),
    THIRD(5, 1500000),
    FOURTH(4, 50000),
    FIFTH(3, 5000)
}

fun main(){
    println(State.FIRST.value)
    println(State.FIRST.price)

    for(state in State.values()){
        println("$state.value state.price")
    }
}

 

출력 결과

6
2000000000
6 2000000000
7 30000000
5 1500000
4 50000
3 5000

생성해준 enum class State는 main에서 사용하는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values() 를 이용하여 전체 열거형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인스턴스는 생성자 매개변수에 인수 값을 전달해줘야 한다.
기본 toString()이 동작되고 Enum class에 선언된 이름을 출력한다.
위와 같이 enum값으로 선언해서 사용 할 경우 로그 출력 할 경우에도 enum값에 선언된 이름으로 출력 되어 디버깅에 유용하다.
상태, 모델 등 고유값을 사용 할 경우 변수를 각 각 선언 하고 사용 할 경우 값이 중복 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어려워지고 읽기 어려운 코드가 된다. 하지만 Enum class를 사용하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enum class State(private val value: Int, private val price: Int) {
    FIRST(6, 2000000000),
    SECOND(7, 30000000),
    THIRD(5, 1500000),
    FOURTH(4, 50000),
    FIFTH(3, 5000);

    fun getValue(state: State) =
            when (state) {
                FIRST -> this.value
                SECOND -> this.value
                THIRD -> this.value
                FOURTH -> this.value
                FIFTH -> this.value
            }

    fun getPrice(state: State) =
            when (state) {
                FIRST -> this.price
                SECOND -> this.price
                THIRD -> this.price
                FOURTH -> this.price
                FIFTH -> this.price
            }
}

fun main(){
    for (state in State.values()) {
        println("${state.getValue(state)} ${state.getPrice(state)}")
    }
}

위와는 다르게 State 클래스의 프로퍼티를 private으로 선언한 경우 State.FIRST.value 처럼 직접 접근할 수 없다.
때문에 getValue(), getPrice() 함수를 만들어 값을 가져올 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이 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상수와 메소드는 세미콜론으로 구분지어져야 한다.

 

출력 결과

6 2000000000
7 30000000
5 1500000
4 50000
3 5000

 

📌참고

[1] https://believecom.tistory.com/707
[2] https://kotlinworld.com/83

  1. 📌Intro
  2. 📌Enum class?
  3. 📌참고
'우아한테크코스/프리코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우테코] 프리코스 4주차 회고
  • [우테코] Domain Logic?
  • [우테코] 프리코스 3주차 회고
  • [우테코] 프리코스 2주차 회고
Krrong
Krrong
Krrong
노는게 제일 좋아
Krrong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05)
    • Android (2)
    • 우아한테크코스 (45)
      • Level 5 ~ (2)
      • Level 4 (8)
      • Level 3 | Project (8)
      • Level 2 (12)
      • Level 1 | Mission (4)
      • Level 1 | 정리 (5)
      • 프리코스 (6)
    • AI⦁딥러닝 (5)
    • Jetson Xavier (9)
    • Computer Vision (6)
      • GoProCam (2)
      • OpenCV (4)
    • Git (5)
    • Spring (5)
    • 활동 (5)
    • 기타 (3)
    • 🇩🇪 (13)
      • 일상 (13)
    • ✈️ 여행 (3)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글쓰기
  • 티스토리홈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정렬알고리즘
  • 퀵소트
  • 알고리즘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Krrong
[우테코] Enum class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